2가지 방법을 소개할께요
먼저 가장 흔히 쓰이는 putty입니다
이건 putty와 puttygen 두 프로그램이 필요해요
먼저 puttygen을 킵니다
EC2를 생성할 때 받은 공개키( .pem)파일과 짝이되는 private key를 만들어야해요 (공개키 방식)
Conversion 메뉴에서 import를 눌러서 .pem파일을 import해줍니다
그다음 Save private key를 누르면 private key가 생성되요
이제 putty를 켭니다
Host Name에 EC2의 public ip를 입력하고
왼쪽 트리 메뉴에서 Connection -> SSH -> Auth로 들어갑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뜨는데 여기서 제일 아래쪽 Private key file for authentication의 Browse를 누르고 위에서 생성한 private key파일 을선택해줍니다.
그리고 Open을 누르면 연결되요
처음 접속하면 영어로 막 뭐라고 뜨는데 OK누르면되요
그다음 아이디를 입력하면되요.
그리고 초기 패스워드는 없어요
Amazon Linux로 생성을 했다면 초기 접속아이디가 ec2-user이에요
아이디를 모르시겠다면은 EC2 instance목록 페이지 들어가서 원하는 instance선택하시고 Connect를 누르면 자세한 정보가 나와요
두번째로 xshell을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xshell도 가정이나 학교에서는 무료로 사용이 가능해요
저는 putty보다는 xshell이 편하더라구요(개인적취향 ㅋㅋㅋㅋ)
xshell은 private key를 따로 생성할 필요가 없어요
.pem public key로 바로 접속이 가능해요
Xshell을 실행하고 왼쪽위에 새로만들기를 누르면 아래처럼 떠요
여기서 호스트에 ip주소를 입력하고 왼쪽 트리메뉴에 사용자 인증을 클릭해요
사용자인증을 누르면 아래처럼 뜨는데 여기서 방법을 Public Key로 바꾸고
사용자 이름은 ec2-user(또는 다른 아이디)
하고 사용자키에 찾아보기를 눌러서
처음 EC2를 생성할 때 다운받았던 .pem 공개키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바로 연결이되요
SFTP를 이용한 방법도 위랑 같아요
WinSCP로 접속할 경우 Putty처럼 PuttyGen에서 생성한 private key를 이용하면되고
xftp를 이용하실 경우에는 xshell처럼 .pem파일로 접속하시면되요
sftp 접속 방법이 잘모르시겠으면 댓글달아주세요
'AmazonWeb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EC2 인스턴스 생성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0) | 2014.05.0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