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azonWebService

아마존 EC2 인스턴스 생성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by 전재훈 2014. 5. 8.
반응형

EC2란 Elastic Compute Cloud였던가?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ㅋㅋ

일반적인 호스팅 서버를 클라우드처럼 사용한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장점이라면 호스팅 서버의 성능을 웹페이지에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죠)


https://console.aws.amazon.com/console/home 

웹 콘솔에 접속하면 보이는 초기화면이에요

여기서 왼쪽 2번째 EC2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파랑색 버튼의 Launch Instance를 클릭해줘요

여기서 부터가 본격적으로 EC2 생성하는 과정이에요

Step1. AMI(Amazon Machine Image)를 선택하는 거에요 

아마존에서는 여러 운영체제를 제공해줘요. 

Amazon Linux, Red Hatm, SUSE Linux, Ubuntu, Windows

사용하시기 편하신데루 선택하면되는데 저는 Amazon 리눅스를 선택해볼께요

제일 위에 64bit, Amazon Linux를 select하면 선택하면 step2로넘어가져요

아 그리고 왼쪽편에 보면 My AMIs라는게 있는데 이 부분은 미리 만들어논 EC2를 AMI로 만들어 똑같은 EC2를 생성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처음하시는분들은 그냥 패스~~)


Step2. 여기서는 Instance Type을 선택하는 단계인데 쉽게생각해서 호스팅받는 서버의 성능을 선택하는 곳이라 생각하면 되요

아래의 주소로 들어가면 instance 별 성능이 나와있구요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

아래에는 instance 별 요금을 볼 수 있는 곳이에요

https://aws.amazon.com/ko/ec2/pricing/

저희는 테스트를 위한거니까 micro instance를 선택해서 다음으로~

step3. 여기서는 EC2의 정보를 입력하는 곳이에요

Number of Instance는 만들어질 EC2의 갯수

Purchsing optrion의 Spot Instance는 아마존에서 Spot이라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책이있는데 그걸 의미하는거에요~ 

Network는 vpc라는 네트워크 망같은걸 선택하는곳이구

Subnet은 가용존을 선택하는 곳이에요 (아마 실제 저장소를 위치하는 곳일거에요)

나머지는 영어단어 그대로 해석하시면될것같구요 현재단계에선 중요하지 않으니까 다음으로

Step4. 저장소를 붙히는 곳이에요

용량을 저장하는 곳이라 보면되구요 다음으로 ~


Step5. 태그를 다는곳이에요

기본으로 나와있는 Key name에 value를 넣으면 이게 나중에 EC2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이 되는거죠 다음으로

Step 6. Security Group이라고 아마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해주는 방화벽이라고 보면되요

저는 ssh, http, mysql을 추가시켜놔서 22, 80, 3306 port로 접근하는 모든 ip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해논거에요


이제 마지막으로 Review and Launch를 누르면 입력한 정보가 나오고 여기에서 Launch를 누르면 EC2 생성 끝

이때 Select an existing key pair or create a new key pair이라고 public key를 생성하라고 나오는데 이때 생성된 public key( .pem 파일)은 꼭 안전한곳에 잘 보관하셔야되요

이게 없으면 나중에 EC2에 접근을 할 수 없어요!

이번엔 여기까지만 쓰구 다음에 ssh, ftp를 통해 EC2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드릴께요

반응형

댓글